너도 나도 공부할때

논리회로 종류대로 정리해보자.

kernellifestory 2025. 3. 6. 23:32


논리회로는 디지털 시스템에서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
기본적으로 조합논리회로와
순차논리회로로 나뉩니다.


조합논리회로
(Combinational Logic Circuit)


출력이 현재 입력 값에만 의존하는 회로
시간에 따른 상태 변화가 없음.

대표적인 조합논리회로

(1) 기본 논리게이트 (Logic Gates)

AND 게이트      ⋅      A B → Y
0 0 → 0
0 1 → 0
1 0 → 0
1 1 → 1

OR 게이트      +      A B → Y
0 0 → 0
0 1 → 1
1 0 → 1
1 1 → 1

NOT 게이트      ¬      A → Y
0 → 1
1 → 0

NAND 게이트 (AND의 부정)
0 0 → 1
0 1 → 1
1 0 → 1
1 1 → 0

NOR 게이트 (OR의 부정)
0 0 → 1
0 1 → 0
1 0 → 0
1 1 → 0

XOR 게이트      ⊕      A B → Y
0 0 → 0
0 1 → 1
1 0 → 1
1 1 → 0

XNOR 게이트 (XOR의 부정)
0 0 → 1
0 1 → 0
1 0 → 0
1 1 → 1

(2) 조합논리회로의 주요 예시
반가산기 (Half Adder):
두 개의 1비트 입력을 더하는 회로

전가산기 (Full Adder):
이전 자리에서 올라온 Carry를 포함하여
덧셈하는 회로

디코더 (Decoder):
입력 신호를 해석하여 여러 출력 중 하나를 선택

인코더 (Encoder):
여러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진 코드로 출력

멀티플렉서 (Multiplexer, MUX):
여러 개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디멀티플렉서 (Demultiplexer, DEMUX):
하나의 입력을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배

순차논리회로
(Sequential Logic Circuit)

출력이 현재 입력뿐만 아니라
이전 상태에도 영향을 받는 회로.
즉, 메모리 기능(저장 기능)이 포함됨.

(1) 플립플롭 (Flip-Flop)
기본적인 1비트 저장소 역할을 하는 회로로, 클럭(Clock) 신호에 따라 상태가 변함.

[ 플립플롭 종류 특징 ]
SR 플립플롭
Set(1)과 Reset(0) 기능을 수행

JK 플립플롭
SR 플립플롭의 문제(S=1, R=1일 때)를 해결
D 플립플롭 입력값을 그대로 저장
T 플립플롭 토글(Toggle) 기능, 상태가 반전됨

(2) 카운터 (Counter)
비동기식 카운터:
클럭이 각 플립플롭에 개별적으로 전달됨
(전파 지연 발생)

동기식 카운터:
모든 플립플롭이 동일한 클럭 신호를 받음

업 카운터: 0 → 1 → 2 → … 순서로 증가
다운 카운터: … → 2 → 1 → 0 순서로 감소
업다운 카운터: 증가 및 감소 모두 가능

(3) 레지스터 (Register)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회로
시프트 레지스터:
데이터를 한 방향으로 이동 (좌측 또는 우측)

이와 같이 조합논리회로는
현재 입력에만 의존하는
반면,

순차논리회로는 이전 상태를 기억하며
동작한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너도 나도 공부할때'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A와 Channel의 차이점  (0) 2025.03.12
우체국 복지등기  (0) 2025.03.07
CISC와 RISC 특징 비교  (0) 2025.03.05
유상통 컴퓨터일반 기출해설시작 D-123  (0) 2025.03.04
오늘의 공부 시작 D-127  (0) 2025.02.28